4. 세금 깎아주세요!

시리즈: 재테크를 해보아요

이 세상에서 확실한 것은 죽음과 세금 뿐이다.

벤자민 프랭클린

세금은 죽을 때까지 피할 수 없습니다. 우리의 작고 귀여운 월급에서도 소득세를 떼가고, 물건을 사면 부가가치세라는 이름의 세금을 뜯어갑니다. 우리가 알아보고 있는 예적금에서도 이자에 대해서 15.4%의 세금을 뜯어갑니다. 이자소득세는 이자를 지급할 때 미리 떼고 주기 때문에(원천징수), 우리가 잘 알아채지 못합니다. 하지만 이 세금을 적게 낼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어떨까요?

모든 금융상품은 15.4%의 이자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하디만, 이자소득세를 내지 않을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금융상품을 비과세종합저축으로 가입하는 방법인데요, 대상이 한정적입니다. 만 65세 이상, 장애인, 독립유공자 및 유족, 5.18민주화운동부상자 등만 가입할 수 있고, 모든 금융기관을 합쳐 한도가 5천만원입니다. 이 글을 보는 대부분의 사람에게는 해당되지 않을 것입니다.

뭐야 그럼 나는 세금 다 내야 해요?

그렇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 소개할 조합원 대상 저율과세를 이용하면 세금을 적게 낼 수 있습니다. 신협, 새마을금고, 수협, 지역농협 등에 조합원 또는 준조합원으로 가입한다면 세금을 깎아줍니다. 한도는 3천만원이고, 만 19세 이상이라면 누구나 조합원이나 준조합원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이자소득세를 5%(2023년 기준)만 내면 됩니다! 무려 10.4%p나 차이가 납니다(2022년까지는 1.4%만 내면 됐는데, 세법이 바뀌면서 단계적으로 세율이 오르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조합원에 어떻게 가입할 수 있을까요? 먼저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내가 가입하려는 지점의 근처에 거주지나 직장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조합원 가입을 위해 ‘출자금 통장’에 최소 금액 이상의 돈을 넣어놓아야 합니다.

왜 출자금 통장에 따로 돈을 넣어야 하나요?

조합원이 된다는 것은 그 조합의 주인이 된다는 의미입니다. 조합이 그냥 굴러가지는 않습니다. 자본이 있어야 조합이 굴러갈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조합의 주인이 되기 위해서는 자본금, 즉 돈을 내야 합니다.

출자금 통장에 넣어놓은 돈에 대해서는 조합에 따라 다르지만 배당금을 주기도 합니다. 그리고 마음대로 해지가 되지 않습니다(들어올 땐 마음대로였겠지만 나갈 땐 아니란다). 출자금 통장을 해지하면(=조합원을 탈퇴하면) 다음 연도 이후에 돈을 줍니다.

조합원도 됐고, 이제 세금 깎아주세요!

그러면 이제 가입한 조합의 예적금을 가입할 때, 세금우대가 되는지 체크하고 가입하면 됩니다.

잘 가입했다면 이렇게 보이게 됩니다. 저는 농협에 준조합원으로 가입했습니다.

2. 예금과 적금은 뭔 차이죠?

시리즈: 재테크를 해보아요

얼마 전, 제 여자친구와 이런저런 얘기를 하다가 재테크를 하는 얘기를 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여자친구에게 예금과 적금의 차이를 알고 있냐고 물었습니다. 제 여자친구는 아무것도 모르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3시간 동안 바부사리도 이해하는 금융상식 강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그리고 이 시리즈가 시작되었습니다.

이 시리즈는 진짜로 아무것도 모르는(또는 그렇다고 생각하는) 사람을 위해 쓴 글입니다. ‘뭐 이런 걸 알려줘야 해?’라는 생각으로 들어오셨다면, 이 시리즈를 안 보셔도 됩니다.

예금(거치식)이란, 일정 기간을 정해두고 은행에 돈을 맡기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120만원을 1년동안 예금하면 연 5%의 이자를 준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1년 뒤에는 120만원과 6만원(세전)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금은 목돈을 안 쓰고 묶어두는 상품입니다.

적금(적립식)이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저축을 하기로 하고 은행에 돈을 맡기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한 달에 10만원씩 1년 동안 넣으면 5%의 이자를 준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1년 뒤에는 120만원과 32,500원(세전)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적금은 돈을 넣어놓는 저금통 같은 느낌입니다.

둘 다 120만원을 넣는다는 점은 같지만, 만기가 되고 나서 받는 이자가 다릅니다. 왜 그럴까요? 적금은 첫 달에 넣는 돈의 이자와 마지막 달에 넣는 돈의 이자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적금저축 금액이자이자 발생월
1월100,0005,00012개월
2월100,0004,58311개월
3월100,0004,16710개월
4월100,0003,7509개월
5월100,0003,3338개월
6월100,0002,9177개월
7월100,0002,5006개월
8월100,0002,0835개월
9월100,0001,6674개월
10월100,0001,2503개월
11월100,0008332개월
12월100,0004171개월
합계1,200,00032,500-
12개월 동안 매월 10만원을 저축하는 경우의 이자 표. 매월 초에 납입하는 경우를 가정함.

이렇게 1월에 넣는 돈과 12월에 넣는 돈의 이자는 많은 차이가 나게 됩니다.

그렇다면, 적금이 만기가 된 다음 그 돈으로 다시 적금을 드는 것이 좋을까요? 적금이 만기가 되었다면, 그 돈을 예금에 넣어놓고, 다시 새로운 적금을 시작하면 됩니다. 그렇게 하면 눈에 보이게 될 정도로 돈이 모이게 됩니다.

여기 3% 예금과 5% 적금이 있습니다.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요?

아 ㅋㅋ 당연히 5%짜리지 ㅋㅋ

목적에 맞게 선택하면 됩니다. 돈을 묶어두어야 할 때는 예금 상품을, 돈을 모아야 할 때는 적금 상품을 선택하면 됩니다.

그렇다면, 둘 중 이자를 더 많이 주는 상품은 어떤 것일까요?

아 ㅋㅋ 당연히 5%짜리지 숫자도 못읽냐 ㅋㅋ

아닙니다. 총 원금이 같고, 다른 조건이 모두 동일하다면, 보통 적금 이자는 예금 이자의 55% 정도라고 놓고 계산하면 대충 맞습니다.

120만원을 저축해 보겠습니다. 예금이자는 120만원 * 3% = 36,000원의 이자를 받지만, 적금은 위의 표와 같이 32,500원을 받게 됩니다. 그래서 적금 이자는 표시된 이자율보다 낮은 이자를 받게 됩니다.

쓰고 보니 엄청 복잡해진 기분이네요. 한 줄로 요약하면, 목적에 맞게 선택하면 됩니다.

1. 저축을 해야 할까요?

시리즈: 재테크를 해보아요

이 글은 아무것도 모르는 제 여자친구에게 알려준 내용을 수정해 작성한 내용입니다.

월급은 작고 귀엽습니다. 그리고 그 월급은 월세 내고 밥 먹고 전기세 가스비 다 내고 나면 남는 게 없습니다. 그렇게 통장은 텅장이 됩니다.

그렇다면 이것이 우리들 탓일까요…? 아닙니다. 월급보다 물가가 더 많이 올라갔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된 이상 욜로YOLO로 살아도 될까요? 그것도 아닙니다(적어도 제 생각에는 그렇습니다). 우리 삶은 굉장히 깁니다. 앞으로 nn년을 더 살아야 하는데(언제 갈 지는 모른다고는 하지만), 그래도 지금부터 조금씩 저축을 해야 합니다. 지금은 절대적인 액수가 중요한 것이 아닙니다. 저축을 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주 어릴 때부터 저축하는 습관을 들인 분도 있고, 저처럼 욜로로 사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이렇듯 사람마다 주어진 상황과 가치관이 전부 다르고, 인생의 속도는 모두 다릅니다. 그래서 우리는 천천히 습관을 들여볼 겁니다. 이 습관은 하루아침에 뿅하고 생기지 않습니다. 아주 오랜 시간을 들여야 겨우 할 수 있습니다.

저축을 무조건 많이 한다고 좋은 것은 아닙니다. 저축은 내가 감당 가능한 수준에서 해야 합니다. 월급의 100%를 저축할 수 있을까요? 물론 부모님 집에 살면서 1원도 쓰지 않는다면 가능하겠지만, 현실적이지 않은 목표를 잡으면 삶이 피폐해집니다. 우리는 행복하자고 저축을 하는 거지, 삶이 피폐해지자고 하는 것이 아닙니다. 맛있는 것도 먹으러 다니고, 사고 싶었던 것도 사보는, 그런 삶을 살아도 되지 않을까요?

관심을 가지고 천천히, 조금씩, 시작해봅시다.